청년백수 126만명 돌파의 한국의 현주소
청년백수 126만명 돌파 학교를 졸업한 뒤에도 직장을 얻지 못한 '청년 백수'가 126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게다가 졸업후 평균 첫 취업 소요 기간은 10.4개월에 달한다고 하는데요. 지난 8월 27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청년층 부가 조사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15∼29세 청년층 인구 841만6000명 가운데 재학·휴학생을 제외한 최종학교 졸업자(수료·중퇴 포함)는 452만1000명이고, 이 중 126만1000명이 미취업 상태라고 합니다. 해당 미취업 졸업자의 세부 특성을 살펴보면, 4년제(45만1000명) 및 3년제 이하(21만5000명) 대학 졸업자가 66만6000명, 대학원 졸업 이상자가 1만2000명으로 대졸 이상자가 전체의 53.8%를 차지했습니다. 고졸(52만4000명), 중졸(4만8000명), 초졸 이하(1만명) 등 고졸 이하의 비중은 46.2%였습니다. 그 뿐만 아니라 하반기 채용 규모는 더 줄어들 상황이라고 하는데요. 하반기에 작년과 달리 3자리수의 채용을 계획하는 회사는 한 곳도 없었습니다. 청년 백수의 현황 미취업자들은 주로 직업훈련(4.7%)을 받거나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위해 학원·도서관 등에 다녔다(36.2%)고 응답했습니다.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낸다는 응답(25.4%)도 4명 중 1명꼴로 나왔다고 하는데요. 취업 시험 준비를 위해 학원·도서관에 다녔다는 비율은 4년제 대학 졸업자(61.2%)에게서 특히 높았습니다. 4년제 대졸자의 평균 졸업 소요 기간은 5년 1.4개월(남자 6년 0.4개월·여자 4년 5.5개월)입니다. 게다가 취업 유경험자 중 최근 일자리가 전공과 매우 일치(25.9%)하거나 그런대로 일치(24.7%)한다고 응답한 사례는 50.6%에 그쳐 나머지 절반은 전공과 무관하게(매우 불일치 38.6%·약간 불일치 10.8%)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이러한 전공과 일치하지 않는 취업으로 인하여 취업에 성공한 청년층의 첫 직장 평균 근속 기간은 1년 7개월로 집계됐습니다. 이 수...